목차
필독!
- 어떤 직업을 선택해도 모든 컨텐츠 진행 가능
- 평소 오래 머무는 곳을 거점 구역으로 설정
- 세력은 마음에 드는 것 아무거나 선택
- 25레벨에 왕국 가입
- 초반 장비는 스탯 많이 올려주는 장비 사용
- 같은 장비도 등급에 따라 스탯이 달라짐
- 보통 보스 드롭 장비가 성능이 더 좋음
- 오른 여유가 있을 때 1~3티어 직업 해금(업적)
이해가 잘 되지 않더라도 이 글을 읽기 전 앞서 작성된 글들을 읽고 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장비의 등급은 어떤 게 높은지, 직업은 무엇이 있는지, 왕국 레이드는 언제부터 참여할 수 있는지... 이렇게 게임에 대한 정보를 어느 정도는 알고 있어야 이 글과 정보 카테고리의 글을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레벨 1 ~ 49 [★1 ~ 2]
순식간에 지나가는 구간입니다. 크게 해야 될 것은 없고, 앞의 가이드에서 설명한 대로 설정 변경, 거점 구역 설정 등을 마친 후에 무지성 사냥을 하면 됩니다. 이때 이름에 '타락한'이 들어간 몬스터들은 포션을 써서라도 꼭 잡아야 합니다. 초반 등장하는 타락 몬스터들은 체력은 약간 높지만 대미지가 약하고, 2티어 이전 장비 중 가장 좋은 무기들을 드롭합니다.
이 구간에서 얻어야할 아이템은 상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랜턴 2개입니다. 랜턴은 시야를 늘려주기 때문에 8티어까지 쭉 사용하는 아이템입니다.
타락 몬스터들은 무기 외에도 아레나 토큰을 드롭하는데, 아레나 토큰은 쓸 수 있을 때 바로 사용하지 않으면 수도없이 쌓이기 때문에 언제든 시간만 된다면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노멀 등급이더라도 타락 몬스터가 드롭하는 무기를 획득했고, 시프의 연막탄 스킬이 있다면 2티어 이전 아레나에서는 질 수가 없습니다.
25레벨에는 왕국에 가입할 수 있게 되는데, 왕국 사원 버프와 왕국 레이드 등 추가적인 기능들이 많으니 최대한 빠르게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레벨 50 ~ 99 [★3 ~ 4]
3티어부터는 던전과 건틀렛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초반에는 입장에 필요한 건틀렛 열쇠를 구하기가 힘드니 일반 모드로 돌아주며 이전과 마찬가지로 무지성 사냥과 아레나를 하면 됩니다.
2티어까지는 시프의 연막탄으로 아레나를 쉽게 이겼다면, 3티어 이후에는 로그의 슬립 다트 스킬이 같은 역할을 합니다. 슬립 다트 사용 시 75% 확률로 적이 수면 상태 이상 효과에 걸리기 때문에 적이 웨이킹 펜던트를 사용하는 게 아니라면 이길 수 있습니다.
이 구간에서 얻어야할 아이템은 기절을 막아주는 스테디 펜던트, 수면을 막아주는 웨이킹 펜던트, 각종 스탯이 증가하는 트롤 챰입니다. 2개의 펜던트는 아레나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고, 트롤 챰은 트롤이 드롭합니다. 이후 진행할 왕국 레이드에서 4티어 보스인 포머가 기절과 수면을 자주 걸기 때문에 펜던트는 꼭 얻어야 합니다. 장신구를 제외한 나머지 장비의 경우 꼭 써야 할 정도로 성능이 특출한 장비는 없으니 인벤토리에서 비교해보며 스탯을 더 올려주는 장비를 사용하면 됩니다.
3티어에서는 직업 말고도 특성이라는 것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데, 특성은 1가지만 선택할 수 있고 바꿀 때마다 오른이 소모됩니다. 하지만 첫 번째 특성은 오른 소모 없이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특성의 성능이 미미한 3티어에서는 특성을 선택하지 않고 5티어까지 버텨 더 좋은 특성을 선택해야 됩니다.
레벨 100 ~ 149 [★5 ~ 6]
티어가 올랐지만 크게 바뀐 점은 없습니다. 이전과 같이 무지성 사냥과 아레나, 일반 모드 던전을 돌면 됩니다. 하지만 사냥으로는 얻는 경험치로는 레벨업이 이전처럼 빠르지 않을 텐데, 이 구간은 경험치를 얻기 가장 좋은 컨텐츠인 왕국 레이드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구간입니다. 왕국 레이드는 보스마다 공격의 속성이 다르고, 상태 이상을 부여하기 때문에 몇 가지 아이템을 챙겨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레나의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블라이트 펜던트는 역병 상태 이상을 막아주는 장신구입니다. 3티어 왕국 레이드 보스인 드라콘이 역병 상태 이상을 자주 걸고, 상위 티어에서도 종종 쓰이기 때문에 꼭 얻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아레나의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인페르노 부츠와 테라 부츠는 각각 불 속성과 땅 속성 공격의 피해를 경감해주는 다리 방어구입니다. 왕국 레이드의 5티어 보스인 스타로드가 불 속성 공격을 주로 하고, 6티어 보스인 타이탄이 땅 속성 공격을 주로 하기 때문에 이 장비들이 있다면 왕국 레이드에서 좀 더 오래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법사 계열 장비이기 때문에 5~6티어 직업 중 유일하게 블레이드마스터는 착용할 수 없습니다.
착용을 위한 장비는 아니지만 메인 퀘스트 진행을 위해 미러라는 장비 아이템이 나올 때까지 아레나를 필수적으로 돌아야 합니다. 이때 자동 분해로 아이템이 분해되지 않게 노멀 아이템의 자동 분해 체크를 꼭 해제해야 합니다.
직업 해금 업적
50레벨에 3티어 직업을 해금했다면 3개의 직업을 해금한 상태일 텐데, 이때 5000 오른으로 나머지 2개의 1티어 직업을 해금하면 팔방미인 II 업적(5개 해금)의 보상으로 5000 오른을 획득합니다. 이후 4티어 직업을 해금하면 6개의 직업이 해금된 상태이고, 2티어의 다른 직업 하나를 해금하면 팔방미인 III 업적(7개 해금)의 보상으로 10000 오른을 획득합니다. 이 방법을 통해 오른 소모 없이 하위 티어의 직업을 해금할 수 있고, 도적 계열 직업이 아니라면 시프와 로그를 추가로 해금해 PvP를 위한 스킬을 배울 수 있습니다.
장비 선택
맨 위에 적어두었지만 사냥을 하며 얻는 아이템 중 스탯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아이템을 사용하면 됩니다. 보통 일반 몬스터가 드롭하는 장비보다 보스가 드롭하는 장비가 더 좋고, 레이드의 보상으로 받는 장비가 동일 티어의 아이템들 중에서 가장 좋은 편입니다.
무기
티어가 조금 오른 뒤에는 장비의 효과를 보고 선택하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무기의 경우 티어가 낮을 때는 공격 관련 스탯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리 계열 직업의 경우 공격력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무기를 사용하고 마법사 계열일 경우 주문력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무기를 사용하면 됩니다.
방어구
낮은 티어의 방어구는 추가적인 효과보다는 방어력과 저항력 스탯만 달린 경우가 많습니다. 신규 유저들이 방어구를 선택할 때 방어력과 저항력 중 어떤 것을 우선으로 챙길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이 보이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적이 물리 공격 위주일 경우 방어력을 올려주는 방어구를 사용하고 마법 공격 위주일 경우 저항력을 올려주는 방어구를 사용하면 됩니다. 적의 공격이 물리 위주인지 마법 위주인지 확인하며 플레이하기가 어렵다면 방어력과 저항력의 밸런스를 맞추며 방어구를 선택하면 됩니다.
레벨링 조절
직업 해금 없이 레벨만 증가할 경우 던전이나 건틀렛에서는 티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맵에서 등장하는 몬스터는 자신의 티어에 해당하는 몬스터들 위주로 등장하기 때문에 광폭화 상태의 적이 나오면 처리하기가 어려워 맵에 광폭화 몬스터만 남고 퀘스트 목표 몬스터가 나오지 않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직업 해금 시기가 티어 상승에 비해 늦어지는 원인은 레이드일 가능성이 큽니다. 왕국 레이드에 피해량 제한이 없을 경우 비교적 쉬운 난이도로 대량의 경험치를 획득할 수 있지만 오른의 수급량은 일반 보스로 동일한 경험치를 획득할 때와 비교해 미미하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를 위해 2티어에서 리스트레인트 링을 사용은 하지 않고 챙겨만 두라고 했는데, 리스트레인트 링은 보너스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페널티를 위해 사용합니다. 리스트레인트 링 착용 시 오른과 골드 획득량과 아이템 드롭률이 각각 3% 증가하지만 획득하는 경험치가 99% 감소하기 때문에 아레나나 레이드를 하지 않는다면 보스 사냥과 퀘스트로 오른을 벌면서도 레벨은 잠시 멈춰둘 수 있습니다.
직업 해금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레벨 상승으로 인해 티어가 증가하면 더 높은 티어의 장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상위 직업 없이 사냥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상위 직업의 스킬이 없어 사냥이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한 곳에 머물며 게임을 하는 편이라면 직업 해금 시기를 티어 상승 시기와 맞추며 진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자주 묻는 질문 (0) | 2021.07.02 |
---|---|
11. 스킬 세팅 가이드 (0) | 2021.07.02 |
9. 건설 & 재료 (0) | 2021.05.29 |
8. 건물의 종류와 기능 (0) | 2021.05.29 |
7. 장비 관련 정보 (0) | 2021.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