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계열
각 직업마다 사용할 수 있는 장비의 종류가 다르며 크게 전사 계열 장비, 마법사 계열 장비, 도적 계열 장비로 나누어집니다. 몇몇 직업들은 둘 혹은 모든 계열의 장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⅓ 페널티
보조 장비 슬롯에도 무기를 장비할 수 있는데, 무기를 2개 장비할 경우 각 무기 스탯의 ⅔(65%)만 적용이 됩니다. 공격력이 300 증가하는 검을 무기 슬롯에만 장비했을 경우 공격력이 300 증가하지만, 보조 장비 슬롯에도 동일한 검을 장비한다면 공격력이 600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400 증가합니다.
하지만 화살, 스크롤, 방패와 같은 보조 장비를 장비할 경우에는 ⅓ 페널티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공격력이 300 증가하는 검과 300 증가하는 화살을 장비한다면 공격력이 600 증가합니다.
무기 | 보조 장비 | 공격력 증가 |
검(+300) | 없음 | 페널티 없음 → 공격력 +300 |
검(+300) | 검(+300) | ⅓ 페널티 적용 → 공격력 +400 |
검(+300) | 화살(+300) | 페널티 없음 → 공격력 +600 |
품질
아이템의 이름 앞에 품질에 해당하는 수식어가 붙어있다면 그 장비의 기본 스탯보다 더 높거나 낮은 스탯을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수식어가 붙지 않은 장비는 노멀 장비로, 스탯의 비율이 100% 적용됩니다.
모든 장비에는 품질이 정해져 있고, 품질에 따라 성능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오르네이트의 경우 노멀 장비보다 최대 2배의 스탯이 증가합니다. 품질로 인해 더 높은 스탯을 가진 장비는 강화를 할 때도 낮은 품질의 장비보다 더 많은 스탯이 증가하기 때문에 최대한 높은 품질의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품질 | 스탯 비율 |
브로큰 | 70~90% |
푸어 | 90~99% |
노멀 | 100% |
슈페리어 | 110~120% |
페임드 | 120~130% |
레전더리 | 140~170% |
오르네이트 | 170~200% |
※ 170%의 장비는 레전더리가 될 수도 있고 오르네이트가 될 수도 있습니다.
기본 성능이 좋은 장비일수록 강화 후 품질에 따른 차이가 더욱 커집니다. 아래의 예시를 통해 품질에 따른 성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에 사용된 장비는 4티어 보스 언데드 골렘이 드롭하는 4티어 무기 본크러셔입니다.
품질 | 스탯 | 10레벨 스탯 |
브로큰/푸어 | 공격력 51~101 |
공격력 116~230 |
노멀 | 공격력 102 |
공격력 232 |
슈페리어 | 공격력 113~123 |
공격력 256~279 |
페임드 | 공격력 124~133 |
공격력 281~302 |
레전더리 | 공격력 143~174 |
공격력 325~395 |
오르네이트 | 공격력 175~204 |
공격력 397~464 |
자동 분해
결국 게임을 하며 주로 사용하게 되는 장비는 오르네이트, 적어도 레전더리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낮은 품질의 아이템을 하나하나 분해하거나 판매를 해야되는데, 게임 설정에서 특정 티어와 품질의 아이템을 획득할 때 자동으로 분해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시 장신구를 제외한 장비 중 '자동 분해 - 품질 기준' 설정에서 선택한 품질의 장비와 '자동 분해 - 티어 기준'에서 선택한 티어의 장비들은 획득과 동시에 재료 아이템으로 분해됩니다.
강화
숫돌
숫돌 아이템을 통해 무기를 3레벨까지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일반 숫돌을 사용하면 장비 중인 1레벨 무기를 2레벨로 강화하고, 고급 숫돌을 사용하면 2레벨 장비를 3레벨 무기로 강화합니다.
일반 강화
대장간에서는 장비를 10레벨까지 강화할 수 있습니다. 10레벨까지 강화를 마치면 장비의 스탯이 약 2배가 되니, 위에서 말한 것처럼 초기 스탯이 높은 오르네이트 품질의 장비를 강화해서 쓰는 것이 좋습니다. 강화를 할 때는 많은 재료/오른/골드가 소모되기 때문에 낮은 품질의 장비를 쓰고 있다면 적당히 강화해서 쓰다가 더 좋은 장비로 바꿔야 합니다.
강화 | 소요 시간 | 소모 재료 |
+2 | 1시간 | 3개 |
+3 | 2시간 | 6개 |
+4 | 3시간 | 9개 |
+5 | 5시간 | 12개 |
+6 | 12시간 | 15개 |
+7 | 24시간 | 18개 |
+8 | 24시간 | 21개 |
+9 | 48시간 | 24개 |
+10 | 72시간 | 27개 |
→ 총 소요 시간 191시간, 소모 재료 1종류 당 135개
메인 퀘스트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갈라르 해머, 머크하임 해머를 사용 시 강화에 걸리는 시간이 각각 50%, 75% 감소합니다. 두 아이템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곱연산으로(87.5% 감소) 적용됩니다.
마스터포지
10레벨까지 강화한 장비는 더 이상 강화할 수 없지만, 연금술사의 마스터포지라는 기능으로 대량의 골드와 [아이템품질×3]개의 재료를 소모해 1%의 품질을 증가시키고 한 단계 더 강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품질이 200%인 오르네이트 본크러셔를 마스터포지하기 위해서는 600개의 재료가 필요하고, 마스터포지 후에는 품질이 201%인 마스터포지드 본크러셔(접두어 변경)가 됩니다.
데몬포지
마스터포지까지 완료한 장비는 악마학자의 데몬포지라는 기능으로 더 많은 골드와 [아이템품질×6.66]개의 재료를 소모해 1%의 품질을 증가시키고 한 단계 더 강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품질이 201%인 마스터포지드 본크러셔를 데몬포지하기 위해서는 1332개의 재료가 필요하고, 데몬포지 후에는 품질이 202%인 데몬포지드 본크러셔가 됩니다.
갓포지
데몬포지가 완료된 장비는 갓포지를 통해 한 단계 더 강화할 수 있습니다. 마몬과 각성 속성신 등 몬스터 이미지 뒤에 황금색 후광이 있는 몬스터들을 쓰러트리면 매우 낮은 확률로 장비 중인 데몬포지 장비 중 하나가 강화되며 접두어가 갓포지드로 변경됩니다.
속성
장비의 속성
장비 중에는 기본 속성이 정해진 장비가 있고, 속성이 없거나 랜덤으로 속성이 부여되는 장비가 있습니다. 무기에 속성이 부여됐다면 물리 공격을 할 때 해당 속성이 적용되고, 적이 해당 속성에 약하다면 피해량이 증가하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피해량이 감소하거나 아예 피해를 받지 않기 때문에 무기의 속성은 없는 편이 좋습니다. 하지만 방어구의 경우에는 속성이 부여됐다면 적의 속성 공격을 50% 경감하기 때문에 좋습니다.
속성 부여
기본 속성(고유 속성)이 정해진 장비가 아니라면 원하는 속성을 장비에 부여할 수 있습니다. 각 속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해당 속성의 특정한 재료 아이템이 필요하고, 장비의 등급이 높아질수록 속성 부여에 필요한 재료의 갯수가 증가합니다.
장비 등급 | 필요한 재료 갯수 |
브로큰/푸어/노멀 | 5 |
슈페리어 | 10 |
페임드 | 25 |
레전더리 | 50 |
오르네이트 | 100 |
마스터포지 | 150 |
데몬포지 | 200 |
갓포지 | 300 |
물/불/땅/번개
연금술사의 속성 부여 기능을 통해 고유 속성이 없는 무기에 물/불/땅/번개 속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각 속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속성 재료인 워터스톤/파이어스톤/어스스톤/라이트닝스톤이 필요하고, 부여된 속성은 고유 속성이 없는 스킬과 일반 공격에만 적용됩니다. 고유 속성이 있는 스킬의 경우 장비의 속성이 무시되지만, 장비의 속성에 의해 결정되는 상태 이상 효과는 적에게 부여할 수 있습니다.
신성/암흑/드래곤/아케인
악마학자의 속성 부여 기능을 통해 고유 속성이 없는 무기에 신성/암흑/드래곤/아케인 속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각 속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속성 재료인 다크스톤/라이트스톤/드래고나이트/퍼펙트룬스톤이 필요하고, 부여된 속성은 고유 속성이 없는 스킬과 일반 공격에만 적용됩니다. 고유 속성이 있는 기술과 주문의 경우 장비의 속성이 무시되지만, 장비의 속성에 의해 결정되는 상태 이상 효과는 적에게 부여할 수 있습니다.
속성 제거
연금술사와 악마학자의 속성 제거 기능을 통해 무기에 부여된 속성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사실 속성이 부여된 무기는 해당 속성에 약한 적들에게는 강력하지만 반대의 경우 피해량이 감소하거나 아예 피해를 받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무속성 무기가 가장 좋습니다.
장식
부착
슬롯이 있는 장비는 보석상과 연금술사의 장식 부착 기능을 통해 슬롯의 수만큼 장식을 부착할 수 있습니다. 장식 부착을 통해 장비에 추가적인 스탯이나 효과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제거 & 파괴
장비에 부착된 장식은 대장간의 추출 탭에서 제거하거나 파괴할 수 있습니다. 제거의 경우 골드가 소모되지만 장식을 회수할 수 있고, 파괴의 경우에는 골드가 소모되지 않지만 장식이 파괴됩니다.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건설 & 재료 (0) | 2021.05.29 |
---|---|
8. 건물의 종류와 기능 (0) | 2021.05.29 |
6. 직업 & 특성 (0) | 2021.05.28 |
5. 레벨링 & 재화 수급 (0) | 2021.05.28 |
4. 게임 시스템 (0) | 2021.05.27 |
댓글